옛그늘 광장

최재천의 자연과 문화[350] 곁쇠 교육

옛그늘 2016. 1. 14. 15:32

최재천의 자연과 문화[350]  곁쇠 교육

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에 유학하던 어느 날 다른대학으로 떠나던 젊은 교수가

내게 수상한 열쇠를 하나 건네주었다

학과건물의 모든 문을 열수 있는 마스터 키(master Key)라는데

몰골은 영 아니었다

그냥 곧바르고 매끈한  뼈대끝에 작은 돌기 하나가 돋아있는

열쇠였다

그런 밋밋한 열쇠로 뭐가 열릴까 싶었는데 그날 밤 나는 그 열쇠로

거의 모든 방을 기웃거릴 수 있엇다

이렇듯 제 열쇠가 아닌데도 자물쇠를 열 수 있는 만능열쇠를

순 우리말로 곁쇠라고 한다


거의 모든 출입문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형 자물쇠는 대개 납작한 뼈대에

오돌도돌한 돌기들이 도드라진 열쇠로 연다

언뜻 생각하면 이 돌기들이 자물쇠의 움푹한 홈들과 결합해 잠금을 푸는것 같지만

사실 돌기는 핀을 밀어올려 아무 문이나 다 열리는것을 방지한다

결국 문을 여는건 돌기가 아니라 뼈대이다

그래서 마스터 키를 '골드쇠(skeleton Key) 라고 도 부른다


인생 100세 시대를 살아갈 지금 청년세대는 평생 직종을 적어도

 대여섯번이나 바꾸며 살것이다

대학에서 취업 관련 수업이나 듣고 스펙이나 쌓아본들  기껏해야

첫직장을 얻는 데나 도움이  될 뿐이다

첫직장의 문이나  열어 주는 평범한 열쇠가 아니라 평생 여러 직장의 문에

꽂아볼 수 있는 열쇠가 필요하다


하버드 예일 옥스퍼드 등 세계적 명문대학들은 왜 사회변화와 산업수요에 맞춰

학과를 개편하기는 커녕 수 백년동안이나 변함없이 인문과학과

기초과학 위주로만 가르치고 있을까?

인문과학과 기초과학의 기반만 쌓으면 언제든 새로운 분야에 도전할 수 있다는 걸

그 대학은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


요행 어느 한 직장의 문이나 열려고 돌기투성이 열쇠 하나를 깍느라

대학4년을 온전히 바치는것은 참으로 손해막심하고 위험천만한 일이다

21세기형 4년제 대학에는 그 어느때보다 '곁쇠 교육'필요하다

곁쇠의 뼈대가 바로 기초학문이다

'사회 수요 맞춤형 인재 양성'은 전문대학의 몫이다


[국립생태원장 . 이화여대 석좌교수]

'옛그늘 광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<나옹스님 이야기 2>  (0) 2016.01.16
안녕하세요~!(2016.01.15. No.733)  (0) 2016.01.15
<나옹스님 이야기 1>  (0) 2016.01.14
금은보화보다 더 값진 것   (0) 2016.01.14
안녕하세요~!(2016.01.13. No.732)  (0) 2016.01.13